맨위로가기

모스크바 필하모니 교향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스크바 필하모니 교향악단은 1951년 지휘자 사무일 사모수드를 중심으로 창단된 구 소련의 대표적인 관현악단 중 하나이다. 키릴 콘드라신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4번과 13번의 초연을 했으며, 유럽과 일본 등지에서 순회 공연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소련 붕괴 이후 경제난으로 침체기를 겪었으나, 유리 시모노프가 음악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1년 결성된 음악 그룹 - 이 무지치
    지휘자 없이 운영되는 이탈리아의 실내악단 이 무지치는 바로크 및 고전주의 음악을 연주하며 비발디의 《사계》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로베르토 미켈루치가 참여한 《사계》 음반은 일본에서 클래식 최초 밀리언셀러를 기록했다.
  • 소련의 음악가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은 1928년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가 창단한 러시아군의 공식 합창단으로, 군가, 민요, 오페라 아리아 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보유하고 독창자, 합창단, 오케스트라, 무용단으로 구성되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2016년 사고로 단원을 잃고 재편성되었다.
  • 소련의 음악가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은 1936년 모스크바 방송 교향악단을 기반으로 창단되어 알렉산드르 가우크, 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 등 유명 지휘자들이 이끌었으며, 특히 스베틀라노프는 35년간 악단의 전성기를 이끌었고 현재는 필리프 치제프스키가 음악 감독을 맡고 있는 러시아의 대표적인 교향악단이다.
  • 모스크바의 음악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9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9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최되었으며 37개국이 참가, 노르웨이의 알렉산더 뤼바크가 우승을 차지했으나 조지아의 불참,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간의 갈등, 스페인 방송 지연, LGBT 시위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 모스크바의 음악 - 볼쇼이 극장
    볼쇼이 극장은 1776년 모스크바에 설립된 세계적인 오페라 및 발레 극장이자 러시아 대표 작곡가들의 작품 초연 무대이며 볼쇼이 발레단의 본거지로서 명성이 높지만, 최근 개보수 공사 중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모스크바 필하모니 교향악단
기본 정보
모스크바 필하모니 관현악단
영어 이름Moscow Philharmonic Orchestra
원어 이름Академический симфонический оркестр Московской филармонии
로마자 표기Akademicheskiy simfonicheskiy orkestr Moskovskoy filarmonii
장르클래식 음악
활동 기간1951년 ~
국가모스크바
웹사이트모스크바 필하모니 관현악단 웹사이트
현재 구성원
수석 지휘자유리 시모노프

2. 역사

모스크바 필하모니 교향악단은 구 소련의 대표적인 관현악단들 가운데 하나로, 1951년에 소련 문화성의 새 관현악단 설립 계획에 따라 지휘자 사무일 사모수드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창단 당시 명칭은 '모스크바 국립 필하모니 아카데미 교향악단'이었으나, 1953년에 현재 명칭으로 바뀌었다. 초대 음악 감독으로 임명된 사모수드는 볼쇼이 극장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관현악 연주회뿐 아니라 오페라의 콘서트 상연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사모수드 사임 후 나탄 라흘린이 객원 지휘 형식으로 출연했고, 1960년에 키릴 콘드라신이 제2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했다. 콘드라신은 악단 육성에 집중하여, 소련 음악 외에 프랑스나 독일 음악 등 서구 고전 명곡까지 레퍼토리를 넓혔다. 쇼스타코비치의 미발표작이었던 교향곡 제4번과 문제작이었던 교향곡 제13번 '바비 야르' 의 세계 초연을 맡았고, 유럽과 일본 등지에서 순회 공연을 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콘드라신이 1975년에 사임한 후에는 드미트리 키타옌코가 자리를 이어받았으며, 키타옌코는 1990년까지 재임하면서 1988년과 1989년에 내한 공연을 가지기도 했다. 키타옌코 사임 후에는 바실리 시나이스키가 임명되었으나, 소련 붕괴 후 심각한 경제난이 계속되면서 한때 악단의 존립이 위협받기도 했다. 연주력도 점차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비판도 있었고, 오랫동안 침체기가 계속되었다.

1996년에 시나이스키의 후임으로 마르크 에름레르가 취임했으나, 에름레르는 1998년까지 단기간 재임 후 볼쇼이 극장의 음악 감독으로 이직했다. 현재 음악 감독은 유리 시모노프가 맡고 있으며, 수석 객원 지휘자로 드미트리 야블론스키가 활동하고 있다.

1951년, 지휘자 사무일 사모수드에 의해 창단되었다. 최초 명칭은 "모스크바 유스 관현악단"(Moscow Youth Orchestra영어)이었으나, 1953년에 현재의 악단명으로 개칭되었다.

키릴 콘드라신이 수석 지휘자를 맡았던 시대에 레코딩 및 국외 연주 여행을 활발하게 펼쳤다. 1967년 첫 방일.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본선 오케스트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냉전 시대였기에 서방 각국에서의 공연은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1970년1월 20일 미국워싱턴 D.C.에서 열린 연주회에서는, 소련의 유대인 처우에 항의하는 젊은이들이 연주를 방해하는 사건도 일어났다.

2. 1. 창단과 초기 활동 (1951-1960)

모스크바 필하모니 교향악단은 구 소련의 대표적인 관현악단들 가운데 하나로, 1951년에 소련 문화성의 새 관현악단 설립 계획에 따라 지휘자 사무일 사모수드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창단 당시 명칭은 '모스크바 국립 필하모니 아카데미 교향악단'이었으나, 1953년에 현재 명칭으로 바뀌었다. 초대 음악 감독으로 임명된 사모수드는 볼쇼이 극장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관현악 연주회뿐 아니라 오페라의 콘서트 상연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2. 2. 콘드라신 시대의 전성기 (1960-1975)

사무일 사모수드가 중심이 되어 1951년에 창단된 모스크바 필하모니 교향악단은, 1953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3] 사모수드는 볼쇼이 극장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오페라의 콘서트 상연도 적극적으로 진행했다.

사모수드 사임 후 키릴 콘드라신이 1960년에 제2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했다.[3] 콘드라신은 악단 육성에 집중하여, 소련 음악 외에 프랑스나 독일 음악 등 서구 고전 명곡까지 레퍼토리를 넓혔다.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제4번과 제13번 '바비 야르'의 세계 초연을 맡았고, 유럽과 일본 등지에서 순회 공연을 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3] 1967년에는 첫 일본 방문을 했다.[3]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본선 오케스트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3]

냉전 시대였기에 서방 국가에서의 공연은 호의적으로 받아 들여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1970년 1월 20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연주회에서는 소련의 유대인 처우에 항의하는 젊은이들이 연주를 방해하는 사건도 일어났다.[4]

2. 3. 키타옌코 시대와 소련 붕괴 이후의 시련 (1976-1996)

키릴 콘드라신이 1975년에 사임한 후에는 드미트리 키타옌코가 자리를 이어받았다. 키타옌코는 1990년까지 재임하면서 1988년과 1989년에 내한 공연을 가지기도 했다. 키타옌코 사임 후에는 바실리 시나이스키가 임명되었으나, 소련 붕괴 후 심각한 경제난이 계속되면서 한때 악단의 존립이 위협받기도 했다. 연주력도 점차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비판도 있었고, 오랫동안 침체기가 계속되었다.

1996년에 시나이스키의 후임으로 마르크 에름레르가 취임했으나, 에름레르는 1998년까지 단기간 재임 후 볼쇼이 극장의 음악 감독으로 이직했다.

냉전 시대였기에 서방 각국에서의 공연은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1970년 1월 20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연주회에서는 소련의 유대인 처우에 항의하는 젊은이들이 연주를 방해하는 사건도 일어났다.

2. 4. 에름레르와 시모노프 시대 (1996-현재)

마르크 에름레르가 1996년에 바실리 시나이스키의 후임으로 취임했으나, 1998년까지 단기간 재임 후 볼쇼이 극장의 음악 감독으로 이직했다. 현재 음악 감독은 유리 시모노프가 맡고 있으며, 수석 객원 지휘자로 드미트리 야블론스키가 활동하고 있다.

3. 주요 활동 및 레퍼토리

1940년에 건립된 차이콥스키 콘서트 홀을 주요 공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보통 콘드라신 재임기를 전성기로 보고 있으며, 이 시기에 해외 순회 공연과 국영 음반사인 멜로디야를 중심으로 한 녹음 활동도 활발하게 진행되어 악단의 명성 확립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특히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전곡 녹음은 세계 최초의 사례로 유명하며, 지금도 여전히 CD로 발매되고 있다. 이외에도 차이콥스키, 하차투리안, 바인베르크, 라벨, 베토벤 등의 관현악 작품들도 다수 녹음되었다.

다비드 오이스트라흐나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다닐 샤프란 등 소련의 유명 독주자들과 협연한 녹음들도 많으며, 예당 클래식스 등으로 라이선스 발매되다가 최근에 멜로디야 본사에서 재발매하고 있다. 콘드라신의 후임이었던 키타옌코도 멜로디야에 주로 녹음했으며, 서울음반의 클래식 전문 레이블이었던 '칸타빌레'에는 라흐마니노프의 교향곡 제2번을 취입하기도 했다. 시나이스키도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녹음을 역시 칸타빌레에 취입했다.

그러나 시나이스키 재임 시기부터 악단의 재정난과 함께 연주회 횟수가 급감하면서 녹음량도 현저히 줄어들었고, 몇몇 단원들은 카바레나 클럽 등에서 부업으로 생계를 꾸릴 정도로 열악한 상황에 놓이기도 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낙소스에 다시 녹음을 재개하는 등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02년2006년에는 시모노프의 지휘로 재차 내한 공연을 가진 바 있다.

4. 대한민국과의 관계

4. 1. 가짜 모스크바 필하모니 소동

소련 붕괴 후 경제난으로 인해 기존 악단들의 활동이 위축됨과 동시에 수많은 신생 악단이 창단되었으나, 그 대부분이 기존 악단과 엇비슷한 명칭을 사용해 해외 공연 때 종종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모스크바 필도 예외는 아니며, 2000년에 홍콩에서 모스크바 필이라는 이름으로 초청 공연한 악단이 사실 다른 악단임이 밝혀져 소동이 벌어진 바 있다.[5]

대한민국에서도 2003년에 모스크바 필이 전년도에 이어 다시 한국을 방문한다고 해 화제가 되었으나, 이 역시 해당 공연을 주최한 기획사 측의 실수로 판명되어 파문이 일기도 했다. 이때 내한한 악단은 1988년에 창단된 악단이었으며, 정식 명칭은 '모스크바 필하모니 국립 교향악단' 이었다.[6][7]

5. 역대 음악 감독

사무일 사모수드가 1951년부터 1957년까지 초대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이후 나탄 라흐린이 1957년부터 1960년까지 음악 감독으로 활동했다. 키릴 콘드라신은 1960년부터 1975년까지, 드미트리 키타옌코는 1976년부터 1990년까지, 바실리 시나이스키는 1991년부터 1996년까지, 마르크 에름레르는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1998년부터는 유리 시모노프가 현재까지 음악 감독직을 맡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rchestra page in Philharmonia.spb.ru http://www.philharmo[...] 2013-06-18
[2] 웹사이트 "#TCH15 - Moscow Philharmonic Orchestra" http://tch15.medici.[...] 2020-04-19
[3] 문서 쇼スタコーヴィチの交響曲全集など
[4] 뉴스 若者の抗議で演奏中断 米でモスクワ・フィル 朝日新聞 1970-01-21
[5] 웹사이트 The Moscow Philharmonic Hoax http://www.museumofh[...]
[6] 뉴스 다음달 내한 러 교향악단, 과장홍보 말썽 https://news.naver.c[...]
[7] 뉴스 모스크바 필 '가짜' 소동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